-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급부상하는 ‘곤충산업, Insect Industry’의 전문인력 양성
▢ 곤충산업 소개
-미래식량 - 식용곤충(edible insects) : 6차산업 선도 NCS 기반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
유엔식량농업기구(UN-FAO) 2013년, 미래 부족한 식량의 해결 대안으로 식용곤충을 지목 우리나라는 2010년, 곤충산업육성지원법을 제정하였고, 제1차 곤충산업육성 5개년 계획(2011 ~ 2015), 제2차 곤충산업육성 5개년 계획(2016 ~ 2020), 제3차 곤충 및 잠업산업육성 5개년 계획(2021 ~ 2025) 진행 ...
우리나라 식용곤충은, 2014년 이전 식용곤충으로 (누에)번데기, (누에)백강잠, 벼메뚜기가 있었고, 2015년 이후 식용곤충 연구 확대에 의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꽃벵이), 갈색거저리 유충(고소애), 장수풍뎅이 유충(장수애), 쌍별귀뚜라미(쌍별이),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수벌번데기, 풀무치 총 10종이 2021년 9월 현재 일반식품원료로 식품공전에 등록.
곤충산업은 식용곤충뿐만 아니라 학습, 애완, 정서 및 치유, 문화행사, 사료원료 곤충 등으로 이미 산업용으로 활용되고 있고, 곤충으로부터 추출되는 특이 기능성 성분들은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산업자원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곤충산업과는 곤충산업 맞춤형 NCS 기반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곤충을 용도에 맞게 사육하고, 가공하고, 판매하고 서비스 할 수 있는 ‘6차산업’을 선도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사회와 국가 경제부흥에 앞장 설 수 있는 새로운 직업 ‘곤충컨설턴트’로 될 것입니다.
▢ 전문인력양성기관 지정
1. 곤충산업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2017.7. 1] - 농촌진흥청장
- 곤충산업과로서는 전국 대학 처음으로 곤충산업 전문인력양성기관으로 지정